세계 최대급 ‘Hydro Ocean K’ 건조 본격화…초저온공학 기술협력으로 수소경제 선도
부산대학교 수소선박기술센터가 세계적인 조선해양 기술기관인 미국선급협회(ABS, American Bureau of Shipping)와 손을 맞잡고 액화수소운반선 및 초저온공학 분야의 국제 공동연구에 본격 착수한다. 양 기관은 2025년 4월 1일 부산대 수소선박기술센터 대회의실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수소 선박 기술 분야의 글로벌 협력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부산대 수소선박기술센터와 ABS는 △액화수소운반선 기술 교류 △국제 공동연구 및 인적 교류 △초저온공학 분야의 학술 협력 및 정보 교류 등 다방면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특히 영하 253도의 초저온 상태에서 저장되는 액화수소는 기술적 난이도가 매우 높은 분야로, 상용화된 사례가 없는 미개척 영역이다.
부산대는 이미 정부의 ‘K-조선 초격차 Vision 2040’ 전략에 따라 세계 최대급 액화수소운반선 ‘Hydro Ocean K(가칭)’ 건조의 총괄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상태다. 이번 협약은 이러한 기술개발 프로젝트에 있어 국제적 검증과 지원 체계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부산대의 기술력, 글로벌 선도 기관과 손잡다
미국선급협회는 세계 조선해양산업의 기술 기준을 설정하고 인증하는 글로벌 탑티어 기관으로, 이번 협약은 부산대의 기술력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ABS 한국대표 대런 레스코스키(Darren Leskoski)는 “부산대 수소선박기술센터는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운 첨단 기술 집합체”라며, “친환경 선박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 성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제명 수소선박기술센터장은 “이번 협력은 수소경제의 핵심 인프라인 액화수소 기술을 한 단계 도약시키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향후 초저온공학 연구 전반에서 국제적 시너지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협약은 단순한 기술개발을 넘어 글로벌 수소경제 체계 구축에 있어 학계와 산업계의 전략적 협력 모델로 주목받는다. 부산대학교는 향후 다양한 국제 공동연구와 산업적 실증을 통해 수소 기반 친환경 해양산업 생태계를 선도할 방침이다.
#부산대학교 #수소선박기술센터 #ABS #미국선급협회 #액화수소운반선 #초저온공학 #HydroOceanK #수소경제 #친환경선박 #K조선2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