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 4,800만 원 지원… 고분·구석기 유물 등 정리·전시·연구 연계 추진
잠재된 역사 자산의 체계적 정비와 공공 활용 기반 마련
부산대학교(총장 최재원) 박물관이 국가유산청과 (사)한국대학박물관협회가 주관하는 「2025 매장유산 미정리 유물 보존 및 활용사업」에 6년 연속 선정되었다. 이 사업은 대학박물관이 장기간 소장하고 있는 발굴 매장문화유산 중 미정리 유물을 정리해 국가 귀속 처리하고, 학술연구 및 전시·교육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된다.
부산대 박물관은 이번 선정으로 올해에도 총 1억 4,800만 원의 국고를 지원받아 유물 정리와 활용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된다.
부산·경남 일대 유적 중심 정리·이관 진행
사업 기간은 오는 11월까지이며, 정리 대상은 부산 복천동고분군, 합천 저포E지구 유적, 산청 옥산리 유적 등이다. 이 유적들은 정리 완료 후 국가 귀속 절차를 거쳐 국립중앙박물관 및 각 지자체 박물관 등으로 이관될 예정이다. 아울러 부산 노포동고분군, 밀양 고례리 구석기유적, 함양 백천리 폐고분군 등도 유물 정리 대상에 포함됐다.
학술총서 발간·연구자 양성 통해 대국민 활용 확대
부산대 박물관은 정리된 유물에 대한 학술성과를 『동래 복천동고분군17』, 『산청 옥산리유적-삼국~조선시대』 등 학술총서로 발간해 국내외 연구자들과 관련 기관에 배포할 계획이다. 이로써 발굴 유적에 대한 학술정보가 사회 전반에 공유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또한 고용노동부의 ‘일모아 일자리 사업’과 연계하여, 청년 고고학자 및 문화재 관련 전공 인재 9명을 신규 채용하고, 연구자 양성과 청년 일자리 창출이라는 부수적 성과도 함께 도모하고 있다. 부산대는 지난 2020년 이 사업에 처음 선정된 이후 총 75명의 연구인력을 양성해왔으며, 2024년에는 우수기관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부산대 박물관 임상택 관장(고고학과 교수)은 “이번 사업을 통해 오랜 기간 미정리 상태로 있던 유물들을 국가 자산으로 전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전시 및 교육 콘텐츠를 시민사회에 환원하고 있다”며 “박물관의 공공성과 학문적 기여를 동시에 실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부산대학교 #부산대박물관 #매장유산정리사업 #문화유산보존 #복천동고분군 #학술총서발간 #청년연구자양성 #일모아이일자리 #국가귀속유물 #전시교육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