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4개 기관 중 유일한 대학 선정…5년간 13억 원 지원받아 디지털 기반 대응 체계 구축 나서
부산대학교(총장 최재원)가 환경부가 주관하는 ‘기후변화 대응 환경보건센터’에 최종 선정되며, 전국 유일의 대학 주관 센터로서 선제적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연구와 정책 지원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이번 사업을 통해 부산대는 2029년까지 5년간 연 2.6억 원씩, 총 13억 원의 국고보조금을 지원받게 된다.
이번 사업의 책임을 맡은 부산대 의생명융합공학부 이환희 교수(센터장)와 도시공학과 강정은 교수(부센터장)는 ‘선제적·능동적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을 위한 보건학과 공학의 융합’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센터는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경암공학관에 위치하게 되며,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유해인자 분석, 보건 영향 평가, 취약계층 보호 전략 수립 등 다층적 연구와 정책 실현을 동시에 추진한다.
정부는 2007년부터 국·공립 대학과 병원,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환경유해인자에 대한 조사·연구 및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보건센터’를 지정해 왔으며, 올해에는 부산대를 포함한 4개 기관이 새롭게 지정됐다. 이 중 대학으로는 부산대가 유일하다.
IoT 기반 취약계층 알람 시스템 구축
부산대 환경보건센터는 디지털 환경보건 시스템을 활용해 빅데이터 및 AI 기반의 환경유해인자 위험도 및 취약성 평가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적용해 실시간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후위기에 민감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알람 및 예방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또한 디지털 소외지역을 위한 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과 환경보건 정보 제공도 병행하여 정보 접근성의 지역 간 격차를 줄이고, 실효성 있는 현장 교육을 실현하겠다는 계획이다.

지역 중심에서 국가 전략으로 확장하는 환경보건 플랫폼
부산대는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유해인자의 건강 피해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기후·환경보건 정책 수립을 위한 지역 기반의 데이터 허브를 구축하는 데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센터는 지역 지자체는 물론 시민이 주도하는 체감형 교육을 통해 시민 중심의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향후 국가 차원의 기후·환경 정책 수립에 기여하는 거점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환희 교수는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유해인자의 건강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센터의 핵심 목표”라며,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한 선제적 기후대응 전략을 통해 지역과 국가 전반의 디지털 환경보건 체계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부산대학교 #기후변화대응 #환경보건센터 #환경부지정 #AI환경보건 #빅데이터기후정책 #IoT환경모니터링 #디지털헬스케어 #취약계층보호 #양산캠퍼스 #환경정책연구 #의생명융합공학부 #도시공학과 #지자체협력 #선제적환경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