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집학교 교육력 강화·맞춤형 교육 확대 및 생애주기별 디지털 역량 교육 추진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주호)는 2월 11일(화) 세종청사에서 2025년 제1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이주배경학생 맞춤형 교육지원 방안’ 및 ‘모두를 위한 디지털 역량 교육 추진방안’을 심의·발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이주배경학생이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밀집학교 교육력 강화 및 학생 개별 맞춤형 지원 확대 방안을 논의했으며, 영유아부터 성인까지 디지털 기술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생애주기별 디지털 역량 교육도 주요 안건으로 다뤘다.
이주배경학생 맞춤형 교육지원 확대
밀집학교 교육력 강화 및 학생 맞춤형 지원 추진
최근 이주배경학생 수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이들이 우리 사회에서 건강한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맞춤형 교육 지원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이주배경학생 밀집학교(100명 이상, 이주배경학생 비율 30% 이상) 100개교를 중심으로 교원 추가 배치 및 지원 인력 확충, 지역 인프라 연계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교육국제화·교육발전특구 지정 지역의 학교에는 규제특례를 부여하여,보다 혁신적인 교육 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맞춤형 교육지원 강화
이주배경학생의 개별 학습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학생맞춤통합지원 체계를 도입하고, 초기 한국어 교육 및 심리·정서 상담 프로그램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중·고등학교 한국어 학급 확대 및 체류자격·진로·진학 안내자료 개발을 추진하며, 법무부와 협력해 고교 졸업 후에도 정주·취업이 가능하도록 비자제도 개선도 논의 중이다. 이와 함께 직업계고 특화 교육 모델을 개발하여 이주배경학생들의 진로·취업을 지원하고, 영유아 및 학부모 대상의 한국 문화 적응 및 교육 정보 제공 프로그램도 확대할 계획이다.
교원 역량 강화 및 지속 가능한 지원체계 구축
이주배경학생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전담 교원 직무연수 및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하고, 밀집학교에서 장기 재직하는 교원들에게는 중·장기 연수 기회를 제공하여 전문성을 축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법률’ 제정을 추진하며,이주배경학생 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전국 단위 실태조사를 처음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https://www.spotlightuniv.com/wp-content/uploads/2025/02/20250211_25.png)
모두를 위한 디지털 역량 교육 강화
영유아부터 성인까지, 디지털 시대 필수 역량 함양 지원
교육부는 모든 국민이 디지털 기술을 안전하고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맞춤형 디지털 역량 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초·중등 정보교육 시수를 2배 확대하고, 디지털 기초소양 교육을 모든 교과에서 연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영유아부터 성인까지 생애주기별 지원 확대
① 영유아기: 보호자·교사를 대상으로 발달 단계별 디지털 활용 교육자료 제공, 만 2세 미만 아동에게는 디지털 콘텐츠 사용을 권장하지 않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② 학령기: 초·중·고등학생들이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를 포함한 디지털 기술을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역량 교육 주간을 운영하고, 디지털 환경 속 자율성과 책임감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한다.
③ 성인기: 지역사회 및 대학과 협력하여 맞춤형 디지털 역량 교육을 제공하고,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한 디지털 문해 교육 및 피싱 예방 교육을 실시하여 안전한 디지털 생활을 돕는다.
디지털 역량 교육 플랫폼 개편
교육부는 ‘함께학교’ 누리집(https://www.togetherschool.go.kr)을 개편하여, 각 부처 및 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교육자료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디지털 교육 체계를 ‘디지털 안전과 윤리, 디지털 시민성, 디지털 리터러시’ 등 3대 핵심 영역으로 정립하여, 교육 콘텐츠를 보다 체계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이주배경학생과 디지털 교육 강화를 위한 이번 정책이 실효성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지자체·교육청·유관기관과 협력을 확대하고 현장 의견을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