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방·한방 결합으로 치매 조기진단 및 예방기술 개발 박차… 고령사회 대응 연구 시동
조선대학교(총장 김춘성)와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원장 이상관)이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치매 조기진단 및 극복기술 개발을 목표로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양 기관은 지난 4월 15일 조선대학교 본관 청출어룸에서 협약식을 체결하고, 치매안심센터와의 연계를 통한 고위험군 조기 발굴, 정밀검사, 예측·예방기술 연구에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협약식에는 조선대 전제열 부총장, 이건호 광주치매코호트연구단장, 이상관 원광대 광주한방병원장이 참석했다.
치매 고위험군 선별부터 지역기반 의료 서비스까지 협력 확대
이번 협약은 치매 조기진단과 예방관리 강화를 위한 실질적 연계 방안을 담고 있다. 주요 협력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치매 고위험군 조기 발굴 및 정밀검사 연계
조선대 광주치매코호트연구단이 보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위험군을 조기에 선별하고, 원광대 광주한방병원의 한방 치료기술과 융합한 정밀진단 시스템을 공동 운영한다. - 지역기반 의료 시범서비스 운영 협조
조기예측 및 예방관리를 위한 의료서비스를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시범 운영하며, 치매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개선과 지속적 관리 방안을 모색한다. - 치매 관련 공익사업 및 연구사업 공동 추진
공공성을 갖춘 치매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공동 개발하고, 관련 기술을 바탕으로 정부 과제 및 지자체 협력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조선대 전제열 부총장은 “광주치매코호트연구단은 국내 최고 수준의 치매 관련 데이터와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번 협력은 조선대의 의과학적 연구 기반과 원광대 한방병원의 전통의학적 접근이 융합하는 모델로, 보다 확장성 있는 결과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상관 원장도 “양 기관의 협업은 뇌질환과 인지기능 관련 질환 연구에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할 것이며, 향후 실질적인 연구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방과 한방의 전문성과 지역기반 코호트 데이터를 결합한 복합 연구모델로, 향후 광주광역시 및 전남권역의 치매 예방과 대응 시스템을 선도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조선대학교가 운영하는 치매코호트연구단의 빅데이터와, 원광대 한방병원의 기능적 치료 접근이 만나, 예방의학 중심의 공공의료 생태계 구축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대학교 #원광대광주한방병원 #치매극복기술 #조기진단 #양방한방협력 #치매코호트 #광주치매연구 #예방의학 #공공의료협력 #고령사회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