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과 맥주, 그리고 전 세계적인 닭 소비량
치킨은 단순한 음식이 아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치킨과 맥주를 함께 즐기는 ‘치맥’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았고, 미국에서는 슈퍼볼 당일에만 14억 7천만 개의 닭날개가 소비될 정도로 인기다. 2022년 전 세계에서 소비된 닭은 무려 750억 마리에 달하며, 이제 닭고기는 인류가 가장 많이 소비하는 육류로 자리 잡았다.
우리나라 역시 ‘치킨 공화국’이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치킨 소비가 활발하다.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치킨 프랜차이즈, 각종 양념과 조리법으로 변주된 다양한 치킨 메뉴들은 치킨이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문화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렇게 우리가 손쉽게 먹는 치킨이 과연 언제부터,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닭고기 산업의 출발점: 작은 실수에서 시작된 거대한 변화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육류는 닭고기다. 하지만, 이렇게 거대한 닭고기 산업이 사실은 100년 전 사소한 실수에서 시작되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1923년 미국 델라웨어주의 한 농부 세실 스틸(Cecile Steele)은 50마리의 병아리를 주문했으나, 실수로 500마리가 배달되었다. 당시 닭은 주로 달걀 생산용이었으며, 육계 산업은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스틸은 반품할 방법이 없었기에 500마리의 병아리를 기르기로 결정했고, 이 경험이 현대 닭고기 산업의 기틀을 마련했다. 그녀는 4개월 후 400여 마리의 닭을 팔아 큰 이익을 남겼고, 이후 사업을 확장하며 본격적인 육계 산업이 시작되었다.
![](https://www.spotlightuniv.com/wp-content/uploads/2025/02/20250212_09-1024x730.png)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닭고기 산업의 성장: 작은 농장에서 대규모 공장으로
스틸의 성공 이후, 1928년까지 수백 명의 농부들이 육계 사육에 뛰어들었다. 당시 1만 마리의 닭을 기르는 농장은 대형 농장으로 여겨졌지만, 오늘날에는 한 개의 공장에서 4만 마리 이상을 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1940년대 이후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닭의 사육 방식이 급격히 변화했고, 1946년 미국에서 ‘내일의 닭(The Chicken of Tomorrow)’이라는 대회가 열려 가장 효율적인 육계 품종이 선정되기도 했다. 그 결과, 1950년대에 등장한 뉴햄프셔 레드(New Hampshire Red)와 콘월(Cornish) 품종을 교배한 ‘코브 500(Cobb 500)’ 품종이 세계적으로 보급되었다. 이는 짧은 시간 안에 체중을 급격히 증가시키는 능력이 뛰어난 품종으로, 현재 전 세계 닭고기 생산의 절반을 차지한다.
닭고기 산업의 혁신: 사료와 항생제 사용의 영향
닭고기 산업의 폭발적인 성장은 사료 기술과 항생제 개발 덕분이었다. 1922년 비타민 D가 발견되면서 닭을 실내에서 사육할 수 있게 되었고, 1940년대 이후 항생제의 도입으로 닭의 성장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1957년에는 닭 한 마리가 56일 동안 2파운드(약 0.9kg)까지 성장했으나, 2005년에는 같은 기간 동안 9.2파운드(약 4.2kg)까지 성장하는 품종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빠른 성장 속도는 닭의 건강 문제를 초래했다. 다리가 체중을 지탱하지 못해 앉아 있는 시간이 늘어나고, 항생제 내성 문제가 대두되면서 환경과 인간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닭고기 산업의 환경적 비용
현재 미국에서는 연간 90억 마리 이상의 닭이 사육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설물과 공장식 축산의 폐해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델라웨어주의 델마바 반도(Delmarva Peninsula)에서는 5억 마리 이상의 닭이 사육되며, 질소와 암모니아 오염이 심각한 수준이다. 미국 환경무결성프로젝트(Environmental Integrity Project)의 보고서에 따르면, 델라웨어와 메릴랜드 지역의 모든 하천이 축산 폐기물로 인해 오염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에는 환경적 영향을 줄이기 위해 배양육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2022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실험실에서 배양한 닭고기가 판매 허가를 받으며, 전통적인 축산업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만약 이러한 기술이 대중화된다면, 현재와 같은 공장식 축산이 크게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치킨을 사랑하는 우리, 그 뒤에 숨은 이야기
치킨은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음식이지만, 그 뒤에는 100년 동안 변화해 온 산업의 역사가 숨겨져 있다. 사소한 실수가 만들어낸 거대한 산업, 그리고 그로 인한 환경적·윤리적 딜레마. 우리는 치킨 한 조각을 베어 물 때마다 그 뒤에 감춰진 이야기를 떠올려 볼 필요가 있다.
그래도 고민 끝에 내리는 결론은? 결국 오늘 저녁 메뉴는 치킨이다. (치맥은 옵션이지만, 강력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