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사업 본격 착수… 안정적 연구지원 체계 구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홍원화)은 이공계 대학원생의 안정적인 연구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2월 11일부터 3월 13일까지 참여 대학을 모집하며, 올해 약 30개 대학, 5만 명의 이공계 대학원생이 지원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학원생들은 매월 석사 과정 80만 원, 박사 과정 110만 원 이상의 연구장려금을 보장받는다.
한국형 ‘스타이펜드’ 도입, 연구자 경제 안전망 확대
이번 사업은 ‘한국형 스타이펜드(Stipend)’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기존에는 연구실별로 교원이 수주한 연구과제에서 학생인건비를 지급하는 방식이었으며, 과제 수주 여부에 따라 지원 수준이 크게 달랐다. 실태 조사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석사과정 80만 원, 박사과정 110만 원 미만을 받은 학생 비율이 20%에 달했다. 이에 따라 이번 사업은 대학원생의 연구활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원하고, 연구자로서의 성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https://www.spotlightuniv.com/wp-content/uploads/2025/02/20250211_23.png)
대학-정부 공동책임 구조로 지원 안정성 확보
연구생활장려금 지원은 기존의 연구개발 인건비, 장학금, 민간 연구개발 지원금 등과 연계해 최소 지급액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특히 정부와 대학이 학생 인건비 확보 및 지급 책임을 공동으로 분담하는 것이 핵심이다. 대학이 자체 재원을 마련하도록 유도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부 지원금과 대학 재정을 결합해 지속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기존에는 개별 연구책임자가 연구과제를 수주해야만 학생들이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개편 이후에는 대학 차원에서 자율적으로 학생지원금 계정을 운영하며, 연구환경을 더욱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참여 대학 모집 및 지원 방식
이번 사업의 참여 대상은 국가연구개발사업 학생인건비 통합관리기관 중 대학 계정을 운영하는 대학이며, 연구활동 중인 이공계 전일제 대학원생이 지원 대상이다. 정부는 참여 대학에 대해 ①기준금액 보장을 위한 부족금 지원, ②대학 자체 재정 기여금, ③대학별 운영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부족금 지원: 대학별 최근 4년(2021~2024년) 평균 지급 현황을 고려해 정부가 부족한 부분을 지원
대학 자체 재정 기여금: 대학별 이공계 대학원생 규모에 따라 재정 확충 지원
운영비 지원: 대학이 연구생활장려금 지급을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사업관리 전담 인력 및 정보 관리 시스템 구축 지원, 대학은 이 지원금을 기반으로 연구실별 지급 격차를 줄이고, 보다 안정적인 지원 체계를 마련할 수 있다.
사업의 단계적 추진과 향후 계획
이번 사업은 도입기(2025~2027년) → 발전기(2028~2030년) → 안착기(2031~2033년)로 나누어 추진된다. 올해에는 30개 대학, 5만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되며, 향후 대학 단위 학생인건비 관리 시스템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더 많은 대학과 학생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사업 운영 성과가 우수한 대학에는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해 학생 처우 개선을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방침이다.
2025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일정과 사업 관련 자세한 사항은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https://www.nrf.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