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LNC’ 기반 차세대 항암 전략 개발… 전이 억제 및 면역 반응 강화 효과 입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박인규 교수 연구팀이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남대 골다공증 토탈 솔루션 선도연구센터와 협력하여 유방암 치료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했다. 연구팀은 종양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프로드럭 기반 나노조절제(Pro@FLNC)를 개발해, 기존 광역학 치료(PDT)의 한계를 극복하고 면역 반응을 극대화하는 새로운 항암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
Pro@FLNC는 종양의 산화-환원 균형을 깨뜨려 종양 세포의 생존 메커니즘을 무력화하는 혁신적인 나노기술이다. 연구팀은 우르솔릭산(UA)과 클로린 e6(Ce6)을 결합한 프로드럭을 개발해 종양 내부의 고유 환경에서만 활성화되도록 설계했다. 이를 통해 기존 광역학 치료가 갖고 있던 산소 부족과 항산화 저항성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이 나노조절제는 종양 내 글루타치온(GSH)을 고갈시켜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SLC7A11 단백질 과발현을 유도해 세포골격을 붕괴시키는 ‘디설피드토시스(disulfidptosis)’를 유발한다. 동시에 활성산소종(ROS)을 증가시켜 면역세포를 자극하는 ‘면역원성 파이롭토시스(pyr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다중 항암 작용을 일으킨다.

전이 억제와 면역 활성까지… 미래 암 치료의 플랫폼 제시
Pro@FLNC의 또 다른 강점은 면역 반응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있다. 치료 과정에서 방출된 종양 항원은 CD8+ T세포의 종양 침투를 촉진하고, 종양 미세환경 내 면역억제 세포를 감소시켜 전반적인 면역 활성을 극대화했다. 특히 1차 종양뿐만 아니라 원격 전이된 암세포까지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성과를 보였다.
이번 기술은 유방암 외에도 난치성 대장암, 폐암 등 다양한 고형암 치료에 적용 가능한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이로써 단일 약물의 한계를 넘어 다중 표적 기반의 항암 치료 전략으로 진화할 수 있는 전환점을 마련한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Programmable Prodrug Nanomodulator Targets Tumor Redox Homeostasis Imbalance to Amplify Disulfidptosis-Triggered Immunogenic Pyroptosis for Breast Tumor Immunotherapy’라는 제목으로 국제 저명 학술지인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 이 학술지는 피인용지수(Impact Factor) 10.0, JCR 상위 4.7%에 해당하는 권위 있는 저널이다.
연구는 박인규 교수(전남대 의과대학), 서지원 교수(GIST 화학과), 이창문 교수(전남대 골다공증 토탈 솔루션 선도연구센터)를 주축으로 진행됐으며,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RLRC)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항암 치료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한 것”이라며 “향후 다양한 고형암 치료에도 적용될 수 있는 범용 플랫폼 기술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전했다.
#전남대학교 #박인규교수 #유방암치료 #난치성암 #ProFLNC #나노조절제 #광역학치료 #디설피드토시스 #파이롭토시스 #면역치료 #암전이억제 #AI암치료 #고형암치료 #의과대학연구 #GIST #전남대연구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