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정기총회가 2025년 1월 22일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이날 행사에는 전국 197개 4년제 대학 중 136개 대학의 총장이 참석하여 고등교육의 미래를 논의하고, 대학 운영에 있어 가장 중요한 현안 중 하나인 재정 문제와 등록금 인상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
![](https://www.spotlightuniv.com/wp-content/uploads/2025/01/20250122_02.jpg)
박상규 회장의 개회사: 위기 속 대학의 역할 강조
대교협 회장 박상규는 개회사를 통해 “지난해는 대학 재정 악화, 학령인구 감소, 의대 정원 증원과 전공 자율 선택제 도입 등으로 대학들이 다사다난한 한 해를 보냈다”고 회고했다. 박 회장은 “대학이 직면한 현실적 어려움을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도록 총장님들의 지혜와 협력이 필요하다”며, 올해도 OECD 평균 이상 수준의 고등교육 예산 확보, 대학의 자율성 강화, 수익 구조 다각화를 위한 규제 혁신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 회장은 또한 지난해 대교협의 성과로 ▲고등·평생교육지원 특별회계 증액(24년 15.5조 원 → 25년 16.4조 원) ▲대학-지자체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RISE 체계 정착 ▲유학생 유치 정책 개선 등을 꼽았다.
등록금 인상 필요성 논의: 대학 운영의 지속 가능성 위협
이번 정기총회의 주요 의제 중 하나는 대학의 등록금 인상이었다. 대다수 총장들은 현행 등록금 동결 정책이 장기화됨에 따라 교육의 질 저하와 재정 악화가 심각해지고 있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한 총장은 “등록금 동결이 대학 재정에 큰 부담을 주고 있으며, 이는 결국 학생들에게 돌아가는 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대학들은 정부에 ▲등록금 인상 허용 ▲고등교육 예산 추가 지원 ▲연구비 지원 확대 등을 강력히 건의할 예정이다.
고등교육 발전 방안: AI와 지역혁신
총회에서는 고등교육의 미래와 중장기 재정 계획에 대한 연구 결과도 공유되었다. 특히 염재호 태재대 총장이 강연한 ‘AI시대 대학교육의 미래’와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의 ‘저출생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대학의 역할’ 발표가 주목받았다. AI 시대에 맞는 교육 혁신과 지역 대학이 지역사회의 중심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가 이어졌다.
교육부와의 대화: 정책 건의와 지원 요청
총회 마지막에는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과의 대화가 진행되었다. 참석자들은 대학의 재정 문제, 등록금 정책, 지방대학 지원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며,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이 부총리는 “대학이 처한 현실을 충분히 공감하며, 교육부는 재정 지원 확대와 함께 대학의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2025년 정기총회는 대학 총장들이 모여 고등교육의 현안을 논의하고, 정부와 협력 방안을 모색한 자리였다. 등록금 인상과 재정 지원이라는 주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학들의 의지는 이번 총회를 통해 더욱 확고해졌다. 앞으로도 대교협과 정부 간의 협력을 통해 한국 고등교육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