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는 2025년을 맞아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발휘하며 교육, 연구, 봉사 전반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광산업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학제 간 협력, 국제적 나눔을 실천하는 봉사활동, 혁신적인 연구개발 성과를 통해 국가거점 국립대학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 광산업 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 간 협력
부산대학교는 인하대학교, 조선대학교와 함께 광기술 및 레이저 분야에서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레이저광기술 융합전공” 과정을 개설하고 학점 교류 협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은 한국광융합산업진흥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전문적이고 다양한 광기술 교과목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광산업진흥회를 통해 특강과 산학 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레이저광기술 융합전공은 광기술과 관련된 학문적, 실무적 역량을 아우르며, 기초광학, 비선형광학, 양자광학, 광통신, 광소자, 첨단 의료광영상 기술 등 다양한 교과목을 포함한다. 특히, 2025학년도 1학기부터 대면과 비대면 방식을 병행한 수업을 제공하며, 물리적 거리와 대학 간 장벽을 넘어선 학습 환경을 조성한다.
![](https://www.spotlightuniv.com/wp-content/uploads/2025/01/20250122_03.jpg)
이번 협력을 통해 국내에서도 미국 로체스터대학이나 아리조나대학에 버금가는 광기술 전문 인프라가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대학교 인지메카트로닉스공학과, 인하대학교 물리학과, 조선대학교 광기술공학과가 이 과정을 운영하며, 국내 광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글로벌 전문가를 배출할 계획이다.
- 태국에서 펼쳐진 글로벌 나눔
부산대학교 연합해외봉사단은 2025년 1월 6일부터 23일까지 18일간 태국 수판부리 지역의 사응우안잉학교를 방문해 다양한 봉사활동을 펼쳤다. 이번 봉사단은 총 3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170명의 현지 학생들과 소통하며 나눔과 배움의 가치를 실현했다.
봉사단은 태권도와 K-Pop 댄스, 미술(전통문화), 한글, 3D 프린터 및 AI 교육 등 5개 분야의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출국 전 3개월 동안 100시간 이상의 사전 준비를 통해 현지 학생들의 학습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기획한 점이 돋보인다.
사응우안잉학교의 뜨라이퐁 켐펫 교장은 “부산대 봉사단 덕분에 우리 학교의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한국어 전공반이 1개에서 2개로 확대됐다”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또한 봉사단은 학교 환경 개선을 위해 한국의 사계절을 주제로 한 건강계단을 조성하고, 교실 외벽에 한국과 태국의 문화교류를 상징하는 벽화를 제작했다.
![](https://www.spotlightuniv.com/wp-content/uploads/2025/01/20250122_04.jpg)
1월 19일에는 K-Pop 커버댄스와 태권도 시연, 플래시몹 공연 등으로 1,000여 명의 관객들로부터 뜨거운 호응을 받았다. 봉사단의 활동은 단순한 나눔을 넘어 현지와의 교감을 통해 더 큰 감동을 선사하며, 부산대는 이러한 활동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필요한 자원을 기부하고 동아리 활동을 지원하기로 했다. 봉사단장 박근태 교수는 “봉사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타인과 소통하며 성장하는 모습을 보며, 이 경험이 인생의 큰 자산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 혁신적인 스마트 점착제 개발
부산대학교 응용화학공학부 안석균 교수 연구팀은 온도에 따라 접착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점착제를 개발하며, 학계와 산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점착제는 기존 상용 제품 대비 13배 강한 접착력을 지니며, 고온에서는 완벽히 분리될 수 있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혁신적 응용 가능성을 열었다.
연구팀은 액정 탄성체에 폴리로탁산이라는 물질을 도입하여 기존 점착제의 한계를 극복했다. 폴리로탁산은 고리 형태의 분자로 구성된 초분자 물질로, 외부 힘이 가해질 때 응력을 분산시키는 독특한 특성을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점착제는 반복적인 접착과 탈착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며, 온도 변화에 따른 접착력 조절이 가능하다.
![](https://www.spotlightuniv.com/wp-content/uploads/2025/01/20250122_05.jpg)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으며, 세계적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게재되었다. 연구책임자인 안석균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접착제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첨단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크게 확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