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예산정책처(NABO)의 경제동향 & 이슈(제133호)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한국 경제는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지만 여전히 여러 위험 요소가 존재한다. 특히 최근의 비상계엄 사태, 글로벌 경기 둔화, 금리 정책 변화 등이 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기사에서는 NABO 보고서를 바탕으로 경제 흐름을 쉽게 설명하고, 앞으로의 전망을 정리한다.
한국 경제 성장률: 낮아진 성장 전망
경제 성장률(GDP 성장률)은 경제 전반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다. NABO 보고서는 2024년 한국 경제 성장률을 2.3%, 2025년에는 2.0~2.2%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내수 소비 둔화와 수출 성장세 둔화가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건설업 침체, 서비스업 경기 위축, 소비 심리 악화가 내수 부진을 초래하고 있으며, 반도체 수출은 회복세를 보이지만 자동차 및 석유화학 산업의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해외 경제 동향: 미국, 중국, 유럽의 영향
한국 경제는 글로벌 경제와 깊이 연결되어 있다. NABO 보고서는 미국, 중국, 유럽 경제가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했다.
(1) 미국 경제: 비교적 안정적 고용시장 안정, 소비 증가 등의 영향으로 미국 경제는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다만, 미국 연준(Fed)의 금리 정책이 한국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2) 중국 경제: 둔화 지속 소비 둔화와 산업 생산 성장 둔화로 인해 중국 경제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 특히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반도체, 석유화학 제품의 수요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3) 유럽 경제: 회복 속도 둔화 유럽 경제는 물가는 안정되었지만 경기 회복 속도가 느리다. 이는 한국의 자동차 및 기계류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https://www.spotlightuniv.com/wp-content/uploads/2025/01/20250129_03-1024x778.jpg)
비상계엄 사태와 경제적 영향
2024년 12월 비상계엄이 선포된 이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1) 소비 심리 위축 : 2024년 1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 대비 12.3포인트 하락하며 큰 충격을 받았다. 이는 과거 대통령 탄핵 시기(4포인트 하락)보다 훨씬 심각한 수준으로 평가된다. 비상계엄이라는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돈을 아끼고 지출을 줄이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2) 금융시장 불안정 : 한국은행 기업심리지수는 12월 중 전월 대비 4.5포인트 하락하며, 기업들이 경제 전망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음을 나타냈다. 한국경제인협회의 2025년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2020년 4월 코로나19 확산 이후 가장 큰 폭(12.7포인트)으로 하락했다. 주식시장과 외환시장에서도 변동성이 커지고 있어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증가하는 상황이다.
2025년 한국 경제의 하방 위험
NABO 보고서는 2025년 한국 경제의 주요 위험 요소를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1) 내수 부진: 소비 위축 지속 : 고물가와 높은 금리로 인해 가계 소비가 줄어들고 있다. 서비스업과 건설업이 침체되면서 고용시장에도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2) 금융시장 변동성 증가 :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하(3.50% → 3.00%)했지만, 미국 연준의 금리 정책 변화, 환율 변동성 등의 영향으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
(3) 수출 둔화 위험 : 반도체 수출은 성장세를 보이지만, 자동차 및 석유화학 산업의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중국 경제 둔화로 인해 대중국 수출 증가율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정책 대응: 정부와 한국은행의 전략
NABO 보고서는 정부와 한국은행이 2025년 경제 안정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1) 정부: 확장적 재정정책 유지: 2024년 대비 2.5% 증가한 673.3조 원의 예산을 집행할 계획이다. SOC(사회간접자본) 사업 조기 착공, 공공기관 투자 확대 등을 통해 경기 부양을 추진할 예정이다.
(2) 한국은행: 신중한 금리 정책: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가능성이 있지만, 환율 변동성과 금융시장 안정을 고려해 신중하게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3) 기업 지원 강화 :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을 위한 정책금융을 611조 원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수출기업 지원 및 글로벌 시장 개척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될 것이다.
2025년 경제, 신중한 대응 필요
NABO 보고서를 종합하면, 2025년 한국 경제는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여러 리스크가 존재한다. 특히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경제 심리 위축, 금융시장 변동성 증가, 내수 소비 둔화 등이 주요 문제로 꼽힌다.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가계는 금리 인하로 대출 부담이 줄어들겠지만, 신중한 소비 계획이 필요하다. 기업은 글로벌 시장 변화에 맞춰 새로운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는 경기 부양과 재정 건전성 유지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야 한다.
2025년 한국 경제는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신중하고 유연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