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는 지역 대학과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는 국가적 정책이다. 기존의 중앙 집중형 대학 지원 시스템을 개편하여 지역별 맞춤형 교육과 연구개발(R&D)을 활성화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이를 통해 지역 대학은 보다 자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지고, 지역의 특성과 산업 수요에 맞춘 교육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RISE 정책은 크게 중앙-지역 협력 거버넌스 구축, 지역별 계획 수립, 사업 운영, 성과 관리 체계 마련이라는 네 가지 축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교육부는 전국 17개 광역지자체가 주도적으로 대학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 중앙 정부는 이에 대한 재정 지원과 성과 평가를 통해 정책 효과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지역 대학들은 단순히 학생을 배출하는 역할을 넘어 지역 혁신의 허브로 자리 잡게 된다.
정부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총 20조 1000억 원을 투입하여 이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지역 인재 육성, 산학협력 확대, 연구개발 강화 등을 체계적으로 실현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지방정부와 대학이 협력하여 지역별 맞춤형 계획을 수립하고, 지속 가능한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 목표로 설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정책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많은 이해 관계자의 협력이 필요하다. 대학과 기업, 지방자치단체뿐만 아니라, 학생과 지역 주민들까지 RISE 정책이 가져올 변화를 정확히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지는 RISE 정책의 핵심 내용을 보다 깊이 있게 분석하고, 정책의 효과와 도전 과제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3회 연재를 기획했다.
![](https://www.spotlightuniv.com/wp-content/uploads/2025/02/20250208_06.png)
1회: RISE 정책의 개요와 추진 배경
RISE 정책은 왜 등장했으며, 기존의 대학 지원 정책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 한국의 고등교육 환경은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대학 집중 현상으로 인해 지방 대학들은 존폐의 기로에 놓여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정부가 제시한 것이 바로 RISE 정책이다. 첫 번째 기사에서는 RISE 정책의 탄생 배경과 추진 이유, 기존 대학 지원 사업과의 차별점, 해외 유사 정책 사례 등을 심층 분석하여, 이 정책이 한국 고등교육과 지역 발전에 미칠 영향을 짚어본다.
2회: RISE 정책의 핵심 전략과 실행 계획
두 번째 기사에서는 RISE 정책이 어떻게 실행될 예정인지 구체적인 내용을 다룬다. 중앙과 지역의 협력 거버넌스 체계, 지역별 맞춤형 계획 수립, 사업 운영 방식, 예산 지원 구조, 성과 관리 시스템 등 RISE 정책의 핵심 전략을 자세히 설명할 예정이다. 특히, RISE가 기존 대학 지원 사업들과 어떻게 조화를 이루며 발전할 것인지, 실제 대학과 기업의 협력 모델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될 것인지 등을 다룬다.
3회: RISE 정책의 도전 과제와 기대 효과
마지막 기사에서는 RISE 정책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 극복해야 할 도전 과제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지방 정부와 대학 간의 협력 문제, 일부 대학의 행정 및 재정 운영 역량 부족, 지속적인 재원 확보의 어려움, 지역 내 취업 연계 문제 등 여러 현실적인 문제들을 점검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또한, 정책이 성공적으로 실행되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변화와 장기적인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2025년 RISE 정책 시행을 앞두고, 이 정책이 지역 사회와 대학, 그리고 산업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지 명확히 전달하는 것이 이번 연재의 목표다. 정책의 전반적인 내용을 상세히 분석하고,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여 독자들이 RISE 정책의 의미와 중요성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겠다. 3회에 걸친 연재를 통해 RISE 정책의 현재와 미래를 탐색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