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우주 음원 송출 프로젝트 성공…AI·미디어아트로 확장된 ‘감성 우주 실험’
KAIST(총장 이광형)가 가수 지드래곤(본명 권지용)과의 협업을 통해 세계 최초로 미디어아트를 기반으로 한 ‘우주 음원 송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4월 9일 KAIST 우주연구원에서 진행되었으며, 과학기술과 대중음악, 예술을 융합한 새로운 형태의 ‘우주 문화 콘텐츠’ 실험으로 기록됐다.
이 프로젝트는 KAIST와 갤럭시코퍼레이션이 공동 추진 중인 ‘AI 엔터테크 연구센터’의 주요 기획 중 하나로 제안되었다. 지드래곤은 KAIST 기계공학과 초빙교수이자, 갤럭시코퍼레이션 소속 아티스트로 이번 프로젝트를 이끄는 핵심 인물로 참여했다. 그의 메시지와 음원 〈Home Sweet Home〉은 KAIST가 개발한 차세대 소형위성을 통해 실제 우주로 송출되었다.
이는 단순한 과학기술 시연이 아니라, 인간의 내면을 상징하는 ‘감성적 신호’를 외부 우주로 확장하는 시도로 해석된다.

이진준 교수의 미디어아트와 AI 기술 결합
KAIST 문화기술대학원 이진준 교수는 이 프로젝트의 예술적 디렉터로 참여하여, 지드래곤의 홍채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시네마틱 미디어아트 작품 〈Iris〉를 선보였다. 해당 작품은 KAIST 우주연구원의 13m급 우주 안테나에 프로젝션 매핑 방식으로 상영되었으며, 천년의 세월을 담은 에밀레종 소리 데이터를 활용한 AI 기반 사운드와 융합되었다.
이진준 교수는 “홍채는 ‘영혼의 거울’이라 불릴 정도로 인간 정체성과 감정을 상징한다”며, “지드래곤의 시선을 통해 ‘인류 내면으로부터 바라본 무한한 우주’를 시각화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홍채 영상 외에도 심박, 뇌파 등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한 KAIST TX랩의 기술과도 연결되었다. 우주는 기술의 영역인 동시에 감성의 무대라는 메시지 아래, 과학과 예술의 융합 가능성을 실험한 상징적인 작업으로 평가된다.
KAIST 우주연구원은 본 프로젝트를 통해 위성 기술의 예술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며, 첨단 기술이 대중적 상상력과 감성을 연결할 수 있는 창의적 모델을 선보였다.
갤럭시코퍼레이션 최용호 CHO는 “지드래곤의 음악이 우주를 향한 항해를 시작했다는 점에서 이번 프로젝트는 인류 문화의 상징적 유산이자, 비틀스 이후 가장 상징적인 ‘우주 음악 송출’로 남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KAIST는 언제나 새로운 상상력과 도전을 실현하는 공간”이라며 “과학기술과 예술이 융합된 이번 실험을 통해, 미래형 창의 연구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확장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KAIST #지드래곤 #권지용교수 #우주음원송출 #AI엔터테크 #이진준교수 #홍채미디어아트 #HomeSweetHome #우주문화콘텐츠 #과학예술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