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C와 엑스포과학공원서 첨단 과학기술 대거 공개… 로봇·원자력·AI 기술 생생한 체험 기회
KAIST(총장 이광형)는 4월 16일부터 20일까지 열리는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에 참가해, 대전컨벤션센터(DCC)와 엑스포과학공원에서 연구성과와 창업기술을 다채롭게 선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축제는 ‘과학기술의 엔진, 내면의 호기심을 깨우다’를 슬로건으로, 국민과 함께 과학기술의 미래를 상상하고 체험하는 국내 최대 과학 행사로 마련되었다.
DCC 전시관에서 KAIST 기술력 집약된 ‘호기심 연구소’ 운영
DCC에 마련된 KAIST ‘호기심 연구소’ 전시관에서는 세계 최초 기술을 구현한 사족보행 로봇부터, 차세대 탈모 케어 솔루션, 웨어러블 로봇, 원자력 기술 등 최첨단 과학기술이 관람객들을 맞이한다.
- 춤추는 마라토너 로봇 ‘라이보’
황보제민 교수팀이 개발한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Lybot)’는 배터리 1회 충전으로 마라톤을 완주한 세계 최초의 로봇이다. 내리막길에서 흡수한 에너지를 오르막 주행에 재활용하는 회생제동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지드래곤의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퍼포먼스로도 주목을 받았다. - 뿌리는 탈모 케어 ‘리프트맥스 308’
이해신 교수의 스타트업 ‘폴리페놀 팩토리’는 탈모 완화와 볼륨 케어 기능을 갖춘 신개념 스프레이 타입 탈모케어 원료 ‘리프트맥스 308(LiftMax 308)’를 공개해 체험을 제공한다. - 웨어러블 로봇 ‘워크온 슈트’와 ‘엔젤슈트’
공경철 교수와 (주)엔젤로보틱스가 공동 개발한 자가 착용형 보행 보조기기 ‘워크온 슈트 F1’과 근력 보조 로봇 ‘엔젤슈트 H10’은 관람객들이 직접 체험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마련되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 체험형 원자력 기술 전시
성지현 교수팀은 대형 원전과 소형모듈원전(SMR)의 구조적 차이를 비교하는 모형, 원자로 조작 시뮬레이터, 방사선 시각화 ‘안개상자’ 등 원자력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야외 공간인 엑스포과학공원에 마련된 ‘호기심 발전소’에서는 더욱 몰입감 있는 과학 체험 콘텐츠들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 브레인 오가노이드 체험 게임
최민이 교수팀은 줄기세포로 인공 뇌를 만드는 과정을 가상 게임으로 구현해, 뇌 부위 형성 및 성장 인자 조절을 체험하며 퇴행성 뇌 질환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했다. - 입김으로 얼리고 녹이는 ‘하호 연못’
이창희 교수팀의 설치 예술 ‘하호연못(Haa Hoo Pond)’은 입김의 온도 차이를 감지해 가상의 연못을 얼리거나 녹이는 인터랙티브 작품으로, 과학과 감성의 융합을 선보였다. - AI 기반 영상 필터 ‘푸드센서’
이성주 교수팀은 유튜브 영상에서 불쾌한 음식 콘텐츠를 자동 차단하는 AI 기술 ‘푸드센서(Food Censor)’를 선보였다. - KAIST 학생 동아리 로봇 시연
KAIST 로봇동아리 MR(Microrobot Research)은 사격 조준이 가능한 군사용 로봇, 사람의 동작을 따라 하는 팔 로봇 등 다양한 시연 로봇을 통해 이정재 배우와 함께 ‘얼음땡 게임’을 진행했던 퍼포먼스를 재현한다. - 전국 해커톤 참가자 80명과 함께한 앱 개발 행사
학생 소프트웨어 동아리 SPARCS와 ㈜에스티데브는 1박 2일간 교육용 앱 개발 해커톤을 개최하고, AI 과학 학습 게임 ‘드림캐쳐’ 시연도 함께 선보인다.
KAIST 이광형 총장은 “이번 축제는 과학기술에 대한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하는 현장”이라며, “시민 여러분이 KAIST의 혁신 기술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누리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KAIST #과학축제 #호기심연구소 #호기심발전소 #라이보 #탈모케어 #웨어러블로봇 #원자력체험 #브레인오가노이드 #이노베이트코리아 #드림캐쳐 #SPARCS #로봇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