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협력과 유연한 학습, 기술이 주도하는 교육 혁신
2025년 1월 20일부터 24일까지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연차총회는 ‘지능형 시대를 위한 협력’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이번 포럼에서는 기술 혁신, 경제 변화, 기후 위기, 사회적 신뢰 회복 등 다양한 글로벌 이슈가 논의되었으며, 특히 고등교육의 변화와 혁신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
기술 변화 속 고등교육의 역할
고등교육은 급변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미래 인재를 양성하는 핵심 기관으로 주목받고 있다. 다보스 포럼에서는 인공지능(AI), 블록체인, 확장 현실(XR) 등 첨단 기술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활용한 교육 혁신이 주요 의제로 다루어졌다. 세계 각국의 대학과 교육 기관들은 전통적인 학습 모델을 탈피하고, 학생 중심의 맞춤형 교육과 평생 학습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https://www.spotlightuniv.com/wp-content/uploads/2025/02/20250202_10-1024x636.jpg)
혁신을 주도하는 주요 변화
유연성과 개인화 AI와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한 적응형 학습 플랫폼이 급부상하고 있다. Coursera와 Khan Academy 같은 온라인 교육 플랫폼은 개별 학습자의 성과를 분석하여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며, 학습 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학생들이 각자의 학습 속도에 맞춰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모듈형 및 스택형 자격증 전통적인 학위 과정과 달리, 단기 자격증 및 모듈형 학습이 주목받고 있다. Google Career Certificates와 IBM SkillsBuild와 같은 프로그램은 특정 직무에 필요한 기술을 신속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보다 실용적인 직업 교육과 연결되어 노동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형평성과 포용성 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교육 격차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전 세계 수백만 명의 학생들이 안정적인 인터넷 접근 및 디지털 교육 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UNICEF의 Giga 프로젝트는 모든 학교에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현재까지 5,000개 이상의 학교에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이러한 디지털 격차 해소 노력은 교육의 포용성과 형평성을 증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글로벌 협력 고등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국제적인 협력이 필수적이다. Universitas 21과 European Universities Initiative와 같은 글로벌 네트워크는 학제 간 연구와 학생 및 교수진의 이동성을 촉진하며, 공동 학위 프로그램을 통해 혁신적인 교육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다보스 포럼에서도 이러한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다양한 국가 및 기관 간 협력 강화 방안이 논의되었다.
미래를 주도하는 기술
인공지능(AI) AI는 교육에서 개인 맞춤형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DreamBox와 같은 적응형 학습 플랫폼은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자의 필요에 맞는 교육 경로를 제공하며, McGraw Hill의 SmartBook은 머신러닝을 활용해 학습자의 성과에 따라 콘텐츠를 조정하는 등 혁신적인 교육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확장 현실(XR) XR 기술은 교육 환경을 혁신하고 있다. Labster와 같은 가상 실험실은 STEM 교육을 보다 접근 가능하게 만들고 있으며, Google for Education은 가상 현장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지리적 장벽 없이 몰입형 학습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블록체인 블록체인은 학업 기록 관리에 투명성과 보안성을 제공하는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MIT는 블록체인 기반의 디플로마 시스템을 도입해 졸업생들이 자신의 학위를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이는 교육 기관과 고용주 간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도전 과제와 해결 방안
디지털 격차 해소 교육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인터넷 접근성과 디지털 기기 부족 문제는 여전히 큰 장애물이다. UNESCO 보고서에 따르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여전히 60% 이상의 인구가 인터넷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격차를 줄이기 위한 글로벌 차원의 노력이 요구된다.
재정적 지원 부족 첨단 기술을 활용한 교육 혁신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며, 특히 공공 대학에서는 이러한 재정적 부담이 주요한 문제로 작용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공 및 민간 부문 간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재정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교수진의 기술 적응 AI 및 디지털 기술을 교육에 도입하는 과정에서 교수진의 기술 적응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EDUCAUSE의 2023년 보고서에 따르면, 많은 교수진이 AI 도구를 활용한 교육에 대한 준비가 부족하다고 응답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수 연수 및 지원이 필요하다.
![](https://www.spotlightuniv.com/wp-content/uploads/2025/02/20250202_09.jpg)
다보스 2025가 제시한 미래 교육의 비전
다보스 2025 포럼에서 논의된 내용은 미래의 고등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교육 기관은 유연한 학습 모델을 도입하고, 기술을 활용한 교육 방식을 확장하며,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술 혁신이 교육에서의 형평성을 해치지 않도록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특히, 인공지능, 블록체인, XR 등의 기술이 보다 윤리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번 포럼에서 강조된 ‘협력’의 중요성은 교육 기관뿐만 아니라 정부, 기업, 비영리 단체 간의 긴밀한 연계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미래 교육이 보다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